미국 단기채권 월배당주 SGOV ETF으로 투자하기


미국 단기채권 월배당주 SGOV ETF으로 투자하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율이 현재 1500원까지도 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긴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달러 방어 때문에 정말로 그 정도까지 갈까?하는 의문점은 있습니다. 요즘에는 달러 환율도 너무 올라서 미국주식을 매수하기 꺼려지는 분들이 많으나, 이것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알아보는 금융상품이 바로 SGOV ETF 이기도 합니다.



SGOV ETF를 매수하면 좋은 점



SGOV ETF는 저도 최근에 알게 된 종목입니다. 다른 ETF와는 다르게 정말 특이한 형태의 주가를 띄고 있고 애초에 단기채권 상품이기 때문에 , 결이 좀 다르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주가 변동성이 낮음



주가변동성 낮은 그래프


SGOV ETF는 주가 변동성이 정말 낮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엄청 하락하고 상승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0.01달러 수준의 차이밖에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월배당주 ETF


월 배당주 ETF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적은 주가로 매수해서 월 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적어도 라면 하나는 먹을 수 있는 수준으로 매수하면 나쁘지 않겠죠?



파킹통장 기능


SGOV ETF는 주가 수익률을 목적으로 매수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달러의 파킹통장 으로 매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담감이 덜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sgov etf의 단점



SGOV ETF는 장점이 많고 안전하다는 점이 있기 때문에 단점이 크게 적용하지는 않으나 그래도 미리 알아두시는 편이 좋습니다.

낮은 수익률

단기 국채의 특성상, SGOV ETF의 수익률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파킹통장 개념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환율 리스크



SGOV는 미국 ETF이므로, 원화를 달러로 환전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이미 달러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매수해야 유리한 부분이 많습니다. 환율 변동에 따라 실제 수익이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금리 리스크



금리가 상승 하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시장 가격이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방어 수단 또한 필요합니다.




수수료


아무래도 주가가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는 매우 미세한 변동성을 보이기 때문에 매수 매도시 에 수수료가 어느 정도 나가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상당히 큰 단점이라고 볼 수 있기에, 단기적으로 1분기 정도만 매수 후에 들고 있고 나중에 매도 한다는 생각으로 들고 있는 전략이 더 좋은 편입니다.

이 경우에는 외화RP가 나은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본인의 상황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외화RP에 대해서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달러투자 외화RP 뜻 장단점 및 헷징방법

달러 투자 방법 삼성증권 외화RP 사용방법

삼성증권 외화RP통보채 등록 후 이용가능 합니다 해결 방법




sgov etf 매수 하기 좋은 타이밍



주가의 변동폭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언제 매수 해도 그다지 별 차이는 없지만, 월배당에 현금을 보유하는 목적으로 들고 있는 etf 이기 때문에, 매수 시에는 월 초에 매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월초가 보통 하락하는 경우가 많고, 배당금이 월초에는 4.8%정도 이지만 월 말에 매수 하게 되면 배당금 비율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렇게 큰 차이가 나진 않습니다.



SGOV ETF 투자 전략


SGOV ETF는 현재 달러 환율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투자 전략을 세우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미 있는 달러로 매수하기


미국주식이 최근에 많이 상승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수후에 SGOV ETF로 투자를 하거나 이미 증권사에 달러가 있다면 환전수수료 없이 바로 SGOV ETF를 매수 하는 전략을 하는 겁니다. 물론 매수 수수료는 들겠지만 그렇게 큰 돈은 아니니까요.




매월 초에 매수 하기


매월 말 보다는 매월 초에 매수하는 게 배당금을 더 많이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원하는 미국주식 있을때 매도하기

애초에 파킹통장의 개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장기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단기적으로 들고 있다가, 원하는 주식이 있다면 매도 후에 다시 원하는 미국주식을 매수 하시면 됩니다.



마무리



주가 변동은 거의 없으나, 매도 할때 환차익으로 인해서 수익 250만원 초과 시 22% 세금 공제 하는 리스크가 분명히 존재 합니다. 상황에 따라 외화rp 더 나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는 전략 보다는 상황을 살피며 소액으로 하는 편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투자권유 절대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