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지갑 종류 콜드월렛 하드월렛 핫월렛 소프트월렛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최근에 업비트 영업정지 기사가 나면서 비트코인 지갑은 앞으로 더욱 필수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비트코인 월렛의 종류 2가지
비트코인 월렛은 총2가지로 크게 나누어 집니다. 지갑 또한 종류가 다릅니다.
- 하드월렛(Hardware Wallet): 키스톤, 제이드, 콜드카드, 패스포트 등.
- 소프트월렛(Software Wallet): 일렉트럼, 블루 월렛, 그린, 스페로우 등.
이렇게 2가지 월렛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콜드월렛과 핫월렛의 차이점
개인 키의 인터넷 노출 여부에 따라 구분 됩니다.
- 콜드월렛(Cold Wallet): 개인 키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음.
- 핫월렛(Hot Wallet): 개인 키가 인터넷에 연결됨.
이 2가지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드월렛이 그대로 하드월렛이 되는 게 아닙니다.
하드월렛의 상태 변화
하드월렛도 USB나 블루투스로 연결되면 핫월렛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즉, 사용 방식에 따라 하드월렛은 콜드월렛과 핫월렛 모두 가능 하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결국 하드월렛 또한 핫월렛으로 가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지갑의 해킹 위험 여부가 없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이 가능 할까요?
와치온리 월렛과 에어갭 트랜잭션
하드월렛에서 핫월렛으로 가는 과정을 없애고 싶다면 와치온리 월렛, 에어갭 트렌잭션 사용법을 알아야 합니다. 이 2가지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와치온리 월렛: 공개키로만 생성되며 비트코인 전송 불가, 잔액 확인만 가능.
- 에어갭 트랜잭션: 하드월렛을 인터넷과 연결하지 않고 비트코인 전송 가능.
비트코인 최고의 보안 방법
결국 콜드월렛도 핫월렛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킹의 위험이 걱정되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안전하기 지갑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직접 만든 니모닉을 하드월렛에 저장하고 이를 완벽한 콜드월렛 상태로 유지 하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방법을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 와치온리 월렛과 에어갭 트랜잭션을 병행.
- 추가 보안을 위해 패스프레이즈, 멀티 시그, DIY 서명 기계(시드 사이너)도 고려 가능.
- 니모닉 생성 및 에어갭 트랜잭션만으로 충분한 보안을 확보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