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NCR (순자본비율) 비율 확인 방법



증권사 NCR (순자본비율) 비율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권사 또한 주식의 제무재표를 공부하는 것처럼 순자본비율도 제대로 미리 확인해 두시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순자본비율(NCR) 뜻




순자본비율(NCR, Net Capital Ratio)증권사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비율 입니다. 증권사가 외부 충격(시장 변동성 등)에 얼마나 잘 대응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위험투자액(손실예상액) 대비해서 얼마나 안전한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식 계산 방법


NCR = (영업용 순자본 ÷ 총 위험금액) × 100%

  • 영업용 순자본: 증권사가 보유한 유동 자산(현금, 쉽게 팔 수 있는 자산 등).
  • 총 위험금액: 증권사가 직면한 리스크(예: 시장 변동, 신용 리스크 등)

NCR 안정권 비율

  • 200% 이상: 안정적, 재무 건전성이 우수.
  • 150~200%: 주의 필요, 리스크 관리 필요.
  • 100% 이하: 위험 신호, 추가 자본 확보가 필요.


즉, NCR이 높을수록 재무 안정성이 뛰어나고, 외부 리스크에 잘 대비할 수 있는 증권사 입니다. 금융 당국은 NCR이 일정 기준(예: 100% 이하)으로 떨어지면 경고나 제재를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증권사의 NCR 확인하는 방법



증권사의 NCR 확인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 합니다.



전자공시 시스템에서 확인 하기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확인 방법을 자세히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전자공시시스템(DART) 접속 합니다.

2. 증권사 검색

화면 상단의 “공시검색” 메뉴를 클릭합니다. 원하는 증권사를 검색해 줍니다. 예를 들면, 삼성증권,메리츠증권,키움증권등으로 검색해주시면 됩니다. 공시 목록이 나오면, 최근 공시 중에서 사업보고서 또는 분기보고서를 찾아 줍니다.

3.사업보고서 또는 분기보고서 열람

사업보고서/분기보고서 제목을 클릭하여 열람한 후에, 문서의 재무제표 또는 위험 관리 관련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NCR 비율은 재무위험 관리나 운영 리스크 관련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영업용순자본비율 현황”, “재무비율 분석”을 의미 합니다.

4. NCR 비율 확인


키움증권 순자본비율



보고서 내에서 NCR 비율을 찾습니다. 보통은 영업용순자본비율이라고 글씨가 적혀있고 위의 이미지 처럼 나와있습니다.



증권사 홈페이지 찾아보기


키움증권 사이트



대부분의 증권사는 자체 홈페이지에서 투자자들에게 NCR 및 주요 재무 정보를 공개 하기 때문에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위의 이미지는 키움증권 사이트에서 NCR을 확인하는 이미지 입니다. 보통 IR자료에 검색하면 거의 다 나와있습니다.

마무리



저축은행의 적금,예금을 들기 전에 BIS비율을 보는 것 처럼, 증권사에 내 돈으로 투자를 할때도 NCR비율을 보는 것도생각보다 정말 중요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항상 안정적이고 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위해서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생각도 동시에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