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ELD 수익Ⅰ형 구조 자세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ELD는 2가지 지수 상품이 있는데 이중에서 우선 I형 구조에 대해서 먼저 설명해드릴려고 합니다.
농협 지수연동예금 I형 수익 구조
지수 상승 시 수익을 내며, 단 최대 상한 설정을 합니다. 수익Ⅰ형 구조는 ELD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KOSPI200 지수가 상승할 경우 그에 비례한 수익을 제공하지만, 수익이 최대치 이상은 오르지 않도록 제한이 걸린 구조입니다.
농협ELD 지수연동예금 수익Ⅰ형 구조 알아보기
구분 | 설명 |
---|---|
지수 상승 | 일정 비율만큼 수익 발생 |
최대 수익률 | 상품 출시 시 미리 정해짐 (예: 최대 5%) |
지수 하락 | 원금만 지급 (수익 0%) |
지수 상승 일정 비율만큼 수익 발생합니다. 또한 최대 수익률 상품 출시 시 미리 정해지며 (예: 최대 5%) 지수 하락 원금만 지급 (수익 0%)합니다. 정확히는 지수가 떨어지든, 오르든 정해진 이자만 지급해준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것 입니다.
예시로 이해하기
1.기준일 대비 KOSPI200 상승률 +4%
→ 예금 수익 4% 지급
2.기준일 대비 KOSPI200 상승률 +10%
→ 수익 상한 5% 도달 → 5%만 지급
3.기준일 대비 하락(-2%)
→ 원금만 지급(농협에서 정해진 이자)
NH농협 ELD I형 수익구조의 장점
상승장이 예상될 때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 입니다. 또한 원금 보장으로 안심 투자가 가능 합니다.
NH농협 ELD I형 수익구조의 단점
아무리 지수가 많이 올라가도 수익이 일정 수준 이상 제한 됩니다. 하락 시에는 수익이 0%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결국 정해진 이지만 지급이 됩니다. 이자는 상당히낮습니다.
NH농협 ELD I형 추천하는 사람
1.단기적인 주가지수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
2.원금 손실은 싫지만 약간의 수익을 기대하는 사람
3.예금자보호와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투자자